누구든 잔차질을 시작하면 잔차질을 잘 하고 싶을 것이다.
나는 잔차질을 잘 하기 위해서는.... 생각하는 잔차질을 권하고 싶다.
얼마나 생각하는 잔차질을 하는가 ?
이 생각의 크기와 깊이가...
잔차질 내공을 키우는 핵심이라고 감히 말 하고 싶다.
잔차질 잘하기 위한 생각의 조각들....
생각 01: 안 다치는 사람이 잘타는 사람이다.
(부상에서 많은 것을 배운다. 허나 너무 심각한 부상은 잔차질을 그만두게 한다)
생각 02: 헬맷없이 자전거 탈 생각 마라.
생각 03: 좋은 자세는 잔차잘타는 사람이되는 재산이다.
생각 04: 잔차안장에 앉으면 내릴때까지 절대 방심 하지마라.
(큰 부상이 아주 험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일은 극히 드물다.)
생각 05: 업힐과 다운힐의 90%는 균형 잡기다.
생각 06: 느리게 가는데 잔차질의 모든 스킬이 숨어있다.
(천천히 업힐하는 법을 배우라. 빨리 올라가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.)
생각 07: 웨이트백의 진짜 목적은 무게중심을 뒤로하는 것보다 무게중심을 아래로 낮추는 것이다.
생각 08: 엔진(타는기술)이 좋으면 라이딩 코스트가 적어진다.
(하드웨어가 아니라 소프트웨어다)
생각 09: 하드테일로 기초를 닦아라 너의 결점을 보완해 줄 것이다.
(다기능잔차(풀샥등)는 기술을 무디게 한다)
생각 10: 초보들의 실수는 빨리가고 앞서려는데 있다. 뒤에 가야 고수의 기술을 훔칠 수 있다.
(고수(선배)들의 잔차질 모습을 보고 따라 하라)
생각 11: 업힐은 스킬이지만 다운힐은 스킬과 경험에 용기를 필요로 한다.
(들이대는데 용기와 만용은 다르다. 용기는 발전을, 허나 만용은 심각한 부상만 초래할 뿐이다)
생각 12: 스탠딩은 산악자전거에 있어서 음식의 소금과 같다.
생각 13: 업힐에서의 기술은 멋이고 쇼다. 허나 다운에서의 기술은 생명의 파수꾼이다.
생각 14: 빨리 달릴 수록 멀리보라. 너를 부상에서 탈출시켜줄 것이다.
생각 15: 클릿페달 쓰기가 무서우냐 ? 아니다 쓰고 익히면 평페달하고 똑같다.
(크릿페달은 2기통엔진을 4기통으로 만들어 준다. 시작 할때 하기를... 언제 해도 얼마간의 고통(?)은 따른다)
생각 16: 넘어질 것 같다고 포기하지 마라. 넘어질 때까지 도전하라.
생각 17: 업힐은 초보나 고수나 똑같이 힘들다.
생각 18: 장거리 잔차질은 너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확실히 알려 준다.
(잔차질은 힘만 가지고 하는 것이 아니다. 생각하고 연구해서 기술을 익혀야 한다)
생각 19: 많은 사람들이 비싼 잔차가 자기의 결점을 커버해 줄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.
생각 20: 어려운 업힐과 다운힐은 잔차질을 참맛을 알게한다. 힘든 업힐과 다운이 없는 잔차질은
앙꼬없는 찐빵과 같다.
그리고 더 이런 저런 생각
● 10도 경사의 업힐은 페달링이, 20도 경사의 업힐은 체중이동이, 30도 이상의 업힐은 종합기술을 필요로 한다.
● 들이대고, 디밀고, 따라 다녀라. 그러지 않으면 잔차질 잘 할 수 없다.
이것 저것 잡탕 같은 생각들을...............
늘 안전 잔차질 하세요
안다치는 사람이 가장 잘 타는 사람이란 것을 꼭 꼭 기억 하세요.
- 이곳 저곳에서 눈동냥 귀동냥한 생각들을 정리함 -
'[잔차질TIP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이딩 자세와 웨이트백 자세 (0) | 2009.09.30 |
---|---|
웨이트백과 다운에 대한 생각 01 (0) | 2009.03.24 |
잔차 잠금장치(바이크캅) (0) | 2008.08.29 |
잔차로 차로를 주행 할 때 (0) | 2007.11.28 |
고수들도 자빠링 한다 (0) | 2007.10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