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부곡이 세상에 알려지기까지
※. 취재수첩.
“다시 태어나면 제가 당신을 도울게요”
17년째 자신의 발이 되어준 남편에게
'사부곡’(思 夫 曲)을 보내온 임 영자 씨(39)는
서울 금호동의 조그만 주택에서
남편 김석진씨(45)와 중3인 딸 한나
초등학교 6학년인 아들 호세나 와 함께
친정어머니를 모시고 살고 있습니다.
집안 거실로 들어서면 우선 눈에 띄는
것이
싱크대입니다.
소아마비로 항상 앉아 있거나
휠체어에 의지해야 하는 임씨가
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
싱크대의 다리를 없애고
바닥에 붙박이로 만든 것입니다.
비록 불편한 몸이지만 병든 어머니와
남편, 자식들을
뒷바라지 하는
주부로서의 알뜰함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.
그런데 무엇보다 궁금한 것은
남편이었습니다.
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해진 사연만으로
알게 된 임씨에게 어떻게 3년에 걸쳐
변함없이 구애를 펼 수 있었는지
참으로 남편의 천사 같은 마음씨가
깊은 감동을 주었습니다.
그런데 김씨의 대답은 전혀 뜻밖이었고
오히려 이를
묻는 기자의 얼굴을
화끈거리게 하였습니다.
장애인과 비장애인과
무엇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까?
육체적으로 불편하다고
그게 장애인은 아닙니다.
장애인 역시 따뜻한 마음이 있고
사람들을 사랑할 수
있어요.
저는 아내에게 처음 편지를 쓰고
또 만났을 때도 아내가 장애인이란
생각을 하지 않았고 아직까지도
아내를 장애인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.
오히려 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
아내가 있어 더 행복합니다.”
현재 임씨는 매주 3일 정립회관에서 운영하는
노들 장애인 야학에 나가 하루 4시간씩
공부를 합니다.
30년이 지난 이제서야 초등학교 과정을
공부하고 있는 것입니다.
새해에는 초등학교 과정의 검정고시를 통과하고
내친 김에 대학까지 진학하는 게 꿈이라고 합니다.
임씨와 결혼하기 위해 직장까지 그만두고
제주에서 아내가 있는
서울로 올라와
12년째 봉고차를 몰며 행상을 하고 있는 김씨.
바쁜 와중에도 남편은 뒤늦게 ‘초등학생’이 된
아내가
안쓰러워 늘 아내의 발이 되어준답니다.
정말 이런 남편이 세상에 또 있을까요?
그런 남편을 위해 아내는 늘 사랑을
받고만 있는
자신이 미안하다며 울먹입니다.
"여보,
나의 소원이 무엇인지 모르지요?
내 소원은 높은
구두 신고
당신 팔짱을 끼고 걸어보는 것도 아니고
가진 것이 많지 않아 힘겹게 살고는 있지만
부자가 되고 싶은 것도
아니랍니다.
다만,
한 가지 유일한 소망은 우리 부부가
이다음 세상에 다시 태어난다면
그 때 나는 건강한
사람...
당신은 조금 불편한 장애인으로 만나
다시 부부가 되는 거예요.
그 때는 내가 당신을 위해
무엇인가 해줄 수 있을 테니 말이예요”
지난 연말 경향신문사로 우송돼 온
임씨의 사부곡을 소개하게 된 것은
조그마한 갈등과 불화를 극복하지 못해 갈라섰거나
갈라서려는 많은 부부들에게
이들의 변함없는 러브스토리를 통해
새로운
희망의 메시지를
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.
- 펀글 -